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사21

전단절단 철골 녹막이칠 매입공법 습식공법 절단 방법 전단 절단: 강판을 가위처럼 잘라내는 방식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톱 절단: 톱날을 이용하여 강판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정밀한 작업이 가능가스 절단: 고온의 불꽃으로 강판을 녹여 절단하는 방식으로, 두꺼운 강판이나 특수한 형태의 절단에 적합 철골 녹막이칠을 하지 않는 부분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부분: 철골을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주로 앵커 볼트가 사용조립에 의해 면 맞춤되는 부분: 다른 부재와 연결될 때 정확한 위치에 맞춰 조립되는 부분고장력 볼트 접합부의 마찰면: 고장력 볼트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연결 강도를 확보밀폐되는 내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내부 부분으로, 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방청 처리 앵커 볼트 매입 공법고정 매입 공법가동 매입.. 2024. 8. 15.
백화현상 소성수축균열 크리프 보수 보강 공법 백화 현상시멘트 속의 수산화칼슘 성분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하얀 얼룩처럼 나타나는 현상(흰 결정체)마치 꽃이 핀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백화'라고 부른다 방지대책흡수율이 낮은 자재 사용: 벽돌이나 콘크리트 블록 등 건축 자재의 흡수율을 낮춰 습기를 최소화방수 처리: 줄눈이나 벽면에 방수제를 사용하여 물의 침투를 막는다차양 설치: 빗물이 직접 닿는 것을 막아 습기를 줄인다 소성 수축 균열콘크리트가 굳으면서 수분이 증발할 때 발생하는 균열콘크리트가 너무 빨리 마르면 부피가 줄어들면서 균열이 생긴 것  크리프 현상콘크리트에 일정한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점점 커지는 현상 크리프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습도: 습도가 높을수록 크리프 현상이 커진다하중: .. 2024. 8. 13.
건축기사 필기 기출 과년도 PDF 2017 2023 공유 건축기사 필기 준비 중 과년도 7개년 기출을 풀어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해당 PDF는 2017년도부터 2023년까지 필기 기출문제들이 각 과목별로 쭉 정리한 PDF파일입니다. 단, 2024년부터 PBT에서 CBT시험으로 바뀜에 따라 사람마다 출제되는 문제가 달라 24년도 기출은 정리되어 있지않으며  전자책 유료 구매자분들과의 차별점을 위해 3과목 건축구조 및 전과목 답안지는 제공해드리고 있지않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 PDF 자료 구성안내1과목, 건축계획2과목, 건축시공4과목, 건축설비5과목, 건축법규 각 과목별로 과년도 기출문제들을 쭉 정리하였습니다! 요즘 책이아닌 탭을 활용하거나 종이로 뽑아서 공부하시는 분들도 많아 따로 정리한 것으로 공부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ㅎㅎ이동.. 2024. 8. 12.
줄눈 콜드조인트 조절줄눈 콘크리트 비빔 센트럴 쉬링크 트랜시트 믹스트콘크리트 건축기사 시공 내용 중 조인트(줄눈)는 기출에 종종 출제되는 내용이니 꼭 숙지하고 시험보시기를 바랍니다. 콘크리트 조인트 종류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조인트가 설치된다.  콜드 조인트콘크리트를 이어붙일 때 완전히 일체화되지 않아 발생하는 의도치 않은 조인트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구조물의 안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조절 줄눈큰 면적의 콘크리트에서 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줄눈균열 발생 위치를 조절하여 구조물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신축 줄눈온도 변화, 부동침하, 진동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팽창하거나 수축할 때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줄눈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 2024. 8. 11.
건축 헛응결 슬럼프플로우 레이턴스 현장가수 문제점 건축기사 실기 내용 중 건축시공과 관련된 기출 문제들입니다. 13개년 기출문제들을 정리하였으니 공부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헛응결 (False Set) = 이상응결, 이중응결시멘트에 물을 넣고 반죽하면 통상적으로 일정 시간 후 굳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잠시 굳었다가 다시 묽어지는 현상마치 이중으로 굳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중응결이라고도 부른다.*석고의 함량이나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 슬럼프 플로우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시험 방법 중 하나특히 초유동화 콘크리트처럼 매우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의 시공성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슬럼프 플로우 값이 클수록 콘크리트가 더 잘 퍼지는 것을 의미한다.즉, 슬럼프 시험을 통해 콘크리트.. 2024. 8. 10.
콘크리트 헤드 거푸집존치기간 갱폼 플라잉폼 건축기사 실기 기출문제 중 시공과 관련된 문제들입니다. 콘크리트 헤드 (Concrete Head)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갓 부어진 콘크리트 윗면에서부터 거푸집에 가해지는 측압까지의 수직 거리콘크리트의 유동성, 거푸집의 두께, 타설 속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달라진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슬럼프 값: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슬럼프 값이 클수록 콘크리트 헤드가 커진다. 벽 두께: 벽이 두꺼울수록 콘크리트 헤드가 커질 수 있다. 타설 속도: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콘크리트 헤드가 커질 수 있다. 습도: 습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 경화가 늦어져 콘크리트 헤드가 커질 수 있다.  거푸집 존치 기간콘크리트가 충분히 강도를 얻을 때까지 거푸집을 유지해야 한다. 사용된 시멘트 종류, 주변 온도에 따라 존치.. 2024. 8. 8.